2025년 8월 6일 매일미사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 오늘의 묵상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은 공관 복음서가 공통으로 전하는 말씀에 따른 것으로, 예수님께서 제자들 앞에서 영광스러운 모습으로 변모하신 일을 기리는 날입니다. 이 축일은 ‘성 십자가 현양 축일’(9월 14일)에서 사십 일 앞서 지냅니다. 교회의 전승에 따라, 예수님의 영광스러운 변모를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시기 사십 일 전에 일어난 사건이라고 이해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십자가 수난과 죽음의 결과인 영광스러운 부활을 미리 보여 주시고자 거룩한 변모의 표징을 드러내셨습니다. 1457년, 갈리스토 3세 교황께서 보편 전례력에 이 축일을 받아들이셨습니다.
2025년 8월 6일 매일미사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 제1독서
그분의 옷은 눈처럼 희었다.
▥ 다니엘 예언서의 말씀입니다. 7,9-10.13-14
9 내가 보고 있는데 옥좌들이 놓이고, 연로하신 분께서 자리에 앉으셨다. 그분의 옷은 눈처럼 희고 머리카락은 깨끗한 양털 같았다.
10 불길이 강물처럼 뿜어 나왔다. 그분을 시중드는 이는 백만이요, 모시고 선 이는 억만이었다. 법정이 열리고 책들이 펴졌다.
13 밤의 환시 속에서 사람의 아들 같은 이가 하늘의 구름을 타고 나타나 연로하신 분께 가자 그분 앞으로 인도되었다.
14 그에게 통치권과 영광과 나라가 주어져, 모든 민족과 나라, 언어가 다른 사람들이 그를 섬기게 되었다. 그의 통치는 영원하고 그 나라는 멸망하지 않는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2025년 8월 6일 매일미사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 복음
예수님께서 기도하시는데, 그 얼굴 모습이 달라졌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9,28ㄴ-36
그때에 28 예수님께서 베드로와 요한과 야고보를 데리고 기도하시러 산에 오르셨다.
29 기도하시는데 얼굴 모습이 달라지고 의복은 하얗게 번쩍였다.
30 그리고 두 사람이 예수님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는데, 그들은 모세와 엘리야였다.
31 영광에 싸여 나타난 그들은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서 이루실 일, 곧 세상을 떠나실 일을 말하고 있었다.
32 베드로와 동료들은 잠에서 깨어나 예수님의 영광과 두 사람을 보았다.
33 그들이 떠나려 하자 베드로가 “초막 셋을 지어 드리겠습니다.” 하고 말했지만, 자기가 무슨 말을 하는지도 몰랐다.
34 이때 구름이 그들을 덮자, 제자들은 겁이 났다.
35 이어 구름 속에서 “이는 내가 선택한 아들이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어라.” 하는 소리가 났다.
36 소리가 울린 뒤 예수님만 보였고, 제자들은 침묵을 지켜 그 일을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았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2025년 8월 6일 매일미사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 오늘의 묵상
구약 성경이 신약 성경의 예고편이라면 신약 성경은 구약 성경의 완성이지요.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을 맞아 어머니이신 교회는 오늘 독서와 복음으로 무엇을 전할까요? 구약 성경의 후기 문헌인 다니엘 예언서는 “사람의 아들 같은 이”(7,13)를 묘사합니다. 연로하신 분, 곧 하느님 곁으로 인도된 그에게 통치권과 영광과 나라가 주어지며, 민족과 나라, 언어가 다른 모든 이가 그를 섬기게 되었다고 서술합니다. 그의 통치는 영원하며 그의 나라는 멸망하지 않으리라는 묵시 문학적 메시지로 오늘 독서는 마무리됩니다. 이처럼 구약 성경에서 ‘사람의 아들 같은 이’는 인간의 희로애락에는 크게 관심이 없는 심판관이나 초월적 통치자의 모습입니다. 한편 다른 공관 복음서와 함께 루카 복음서는 영광에 싸여 나타난 모세와 엘리야와 이야기를 나누시는 예수님의 거룩한 변모 이야기를 전합니다. 구약 성경의 이 두 인물은 율법서와 예언서를 대표하며, 하느님께서 이스라엘에게 당신 자신을 드러내신 계시의 역사를 요약합니다. 거룩한 모습으로 변모하신 예수님께서는 이 둘과 이야기를 나누십니다. 베드로의 철부지 같은 제안이 무색하게 구름이 이 두 인물을 덮자, 구름 속에서 “이는 내가 선택한 아들이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어라.”(루카 9,35) 하는 소리가 들려옵니다. 다니엘서의 ‘사람의 아들 같은 이’는 복음서에 이르러 하느님께서 사랑하시는 성자 예수 그리스도로 재해석됩니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은 우리도 하느님의 자녀이며 그분 나라의 공동 상속자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우리는 이 기쁜 소식을 어떻게 받아들이며 살아가고 있습니까? (김상우 바오로 신부)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8월 8일 매일미사 성 도미니코 사제 기념일 오늘의 묵상 (0) | 2025.07.01 |
---|---|
2025년 8월 7일 매일미사 연중 제18주간 목요일 오늘의 묵상 (2) | 2025.07.01 |
2025년 8월 5일 매일미사 연중 제18주간 화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7.01 |
2025년 8월 4일 매일미사 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 사제 기념일 오늘의 묵상 (1) | 2025.07.01 |
2025년 8월 3일 매일미사 연중 제18주일 오늘의 묵상 (0) | 2025.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