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3일 매일미사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 기념일 오늘의 묵상
본문 바로가기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2025년 6월 3일 매일미사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 기념일 오늘의 묵상

by 필로테아 2025. 5. 11.
반응형

2025년 6월 3일 매일미사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순교자 기념 오늘의 묵상

2025년 6월 3일 매일미사 성 가롤로 르왕가&동료순교자 기념 오늘의 묵상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성인들은 우간다의 순교자들이다. 우간다를 비롯한 동아프리카 지역에는 19세기 말에 그리스도교가 전파되었다. 왕궁에서 일하던 가롤로 르왕가는 교리를 배우고 세례를 받은 뒤, 자신의 신앙을 떳떳하게 고백하며 궁전의 다른 동료들에게도 열성적으로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하였다. 그러나 그리스도교를 박해하는 왕조가 들어서면서 배교를 강요받던 그와 스물한 명의 동료들은 끝까지 굽히지 않다가 1886년 6월에 순교하였다. 1964년 성 바오로 6세 교황께서는 우간다 교회의 밑거름이 된 이들을 ‘우간다의 순교자들’이라고 부르시며 시성하셨다.

 

 

 

 

2025년 6월 3일 매일미사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순교자 기념 제1독서

2025년 6월 3일 매일미사 성 가롤로 르왕가 동료순교자 기념 제1독서

나는 달릴 길을 다 달려 주 예수님께 받은 직무를 다 마칩니다.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 20,17-27

그 무렵 17 바오로는 밀레토스에서 에페소로 사람을 보내어 그 교회의 원로들을 불러 오게 하였다.

18 그들이 자기에게 오자 바오로가 말하였다. “여러분은 내가 아시아에 발을 들여놓은 첫날부터 여러분과 함께 그 모든 시간을 어떻게 지냈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19 나는 유다인들의 음모로 여러 시련을 겪고 눈물을 흘리며 아주 겸손히 주님을 섬겼습니다.

20 그리고 유익한 것이면 무엇 하나 빼놓지 않고 회중 앞에서 또 개인 집에서 여러분에게 알려 주고 가르쳤습니다.

21 나는 유다인들과 그리스인들에게, 회개하여 하느님께 돌아오고 우리 주 예수님을 믿어야 한다고 증언하였습니다.

22 그런데 이제 나는 성령께 사로잡혀 예루살렘으로 가고 있습니다. 거기에서 나에게 무슨 일이 닥칠지 나는 모릅니다.

23 다만 투옥과 환난이 나를 기다리고 있다는 것은 성령께서 내가 가는 고을에서마다 일러 주셨습니다.

24 그러나 내가 달릴 길을 다 달려 주 예수님께 받은 직무, 곧 하느님 은총의 복음을 증언하는 일을 다 마칠 수만 있다면, 내 목숨이야 조금도 아깝지 않습니다.

25 이제, 내가 두루 돌아다니며 하느님의 나라를 선포한 여러분 가운데에서 아무도 다시는 내 얼굴을 볼 수 없으리라는 것을 나는 압니다.

26 그래서 여러분 가운데 그 누구의 멸망에 대해서도 나에게는 잘못이 없다는 것을, 나는 오늘 여러분에게 엄숙히 선언합니다.

27 내가 하느님의 모든 뜻을 무엇 하나 빼놓지 않고 여러분에게 알려 주었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반응형

 

 

 

2025년 6월 3일 매일미사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순교자 기념 복음

2025년 6월 3일 매일미사 성 가롤로 르왕가 동료순교자 기념 복음

아버지, 아버지의 아들을 영광스럽게 해 주십시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7,1-11ㄴ

1 그때에 예수님께서 하늘을 향하여 눈을 들어 말씀하셨다. “아버지, 때가 왔습니다. 아들이 아버지를 영광스럽게 하도록 아버지의 아들을 영광스럽게 해 주십시오.

2 아버지께서는 아들이 아버지께서 주신 모든 이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도록 아들에게 모든 사람에 대한 권한을 주셨습니다.

3 영원한 생명이란 홀로 참하느님이신 아버지를 알고 아버지께서 보내신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입니다.

4 아버지께서 저에게 하라고 맡기신 일을 완수하여, 저는 땅에서 아버지를 영광스럽게 하였습니다.

5 아버지, 세상이 생기기 전에 제가 아버지 앞에서 누리던 그 영광으로, 이제 다시 아버지 앞에서 저를 영광스럽게 해 주십시오.

6 아버지께서 세상에서 뽑으시어 저에게 주신 이 사람들에게 저는 아버지의 이름을 드러냈습니다. 이들은 아버지의 사람들이었는데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셨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아버지의 말씀을 지켰습니다.

7 이제 이들은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신 모든 것이 아버지에게서 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8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신 말씀을 제가 이들에게 주고, 이들은 또 그것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리하여 이들은 제가 아버지에게서 나왔다는 것을 참으로 알고, 아버지께서 저를 보내셨다는 것을 믿게 되었습니다.

9 저는 이들을 위하여 빕니다. 세상을 위하여가 아니라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신 이들을 위하여 빕니다. 이들은 아버지의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10 저의 것은 다 아버지의 것이고 아버지의 것은 제 것입니다. 이 사람들을 통하여 제가 영광스럽게 되었습니다.

11 저는 더 이상 세상에 있지 않지만 이들은 세상에 있습니다. 저는 아버지께 갑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반응형

 

 

 

 

2025년 6월 3일 매일미사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순교자 기념 오늘의 묵상

2025년 6월 3일 매일미사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순교자 기념 오늘의 묵상

오늘 독서와 복음은 자신의 사명에 관하여 중대한 여정을 앞둔 두 사람을 보여 줍니다. “성령께 사로잡혀”(사도 20,22) 예루살렘으로 떠나면서 에페소의 원로들에게 비장한 고별사를 전하는 바오로의 등 뒤로, 당신의 “때”(요한 17,1)를 맞아 아버지께 장엄하고 애절한 기도를 드리시면서 당신께서 떠나신 뒤 세상에 남겨질 제자들을 아버지께 맡기시는 예수님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자신에게 무슨 일이 닥칠지 모른 채 성령께서 일러 주시는 “투옥과 환난”(사도 20,23)을 결연히 마주하려는 바오로 사도의 모습은 숭고해 보입니다. 그는 오직 “주 예수님께 받은 직무 곧 하느님 은총의 복음을 증언하는 일을 다 마칠 수만 있기를”(20,24) 바라 마지않습니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자신의 평안보다는 주님께서 맡기신 사명인 것입니다. 한편 예수님께서는 대사제로서 아버지께 드리시는 기도에서, 당신의 사명을 완수하셨다고 하며 아버지께 영광을 청하십니다. 여기서 예수님께서 청하시는 영광은 바로 십자가 위의 죽음입니다. ‘때’가 되어 이제 곧 예수님께서 가실 길은 고난과 십자가의 길입니다. 이를 통하여 아버지와 아들은 서로를 영광스럽게 하십니다. 이 길이 바로 교회가 오늘 기리는 순교자들의 영광이요 그리스도인들의 참된 영광입니다. 예수님과 바오로처럼 우리가 사명을 수행하면서 받는 성령의 이끄심이 꼭 평탄한 길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성령께서 이끄시는 그 고난의 길이 바로 하느님과 우리에게 영광이 됩니다. (국춘심 방그라시아 수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