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7일 매일미사 부활 제7주간 토요일 오늘의 묵상
2025년 6월 7일 매일미사 부활 제7주간 토요일 제1독서
바오로는 로마에서 지내면서 하느님의 나라를 선포하였다.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 28,16-20.30-31
16 우리가 로마에 들어갔을 때, 바오로는 자기를 지키는 군사 한 사람과 따로 지내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다.
17 사흘 뒤에 바오로는 그곳 유다인들의 지도자들을 불러 모았다. 그들이 모이자 바오로가 말하였다. “형제 여러분, 나는 우리 백성이나 조상 전래의 관습을 거스르는 일을 하나도 하지 않았는데도, 예루살렘에서 죄수가 되어 로마인들의 손에 넘겨졌습니다.
18 로마인들은 나를 신문하고 나서 사형에 처할 만한 아무런 근거가 없으므로 나를 풀어 주려고 하였습니다.
19 그러나 유다인들이 반대하는 바람에, 나는 내 민족을 고발할 뜻이 없는데도 하는 수 없이 황제에게 상소하였습니다.
20 그래서 여러분을 뵙고 이야기하려고 오시라고 청하였습니다. 나는 이스라엘의 희망 때문에 이렇게 사슬에 묶여 있습니다.”
30 바오로는 자기의 셋집에서 만 이 년 동안 지내며, 자기를 찾아오는 모든 사람을 맞아들였다.
31 그는 아무 방해도 받지 않고 아주 담대히 하느님의 나라를 선포하며 주 예수 그리스도에 관하여 가르쳤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2025년 6월 7일 매일미사 부활 제7주간 토요일 복음
이 제자가 이 일들을 기록한 사람이다. 그의 증언은 참되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1,20-25
20 그때에 베드로가 돌아서서 보니 예수님께서 사랑하시는 제자가 따라오고 있었다. 그 제자는 만찬 때에 예수님 가슴에 기대어 앉아 있다가, “주님, 주님을 팔아넘길 자가 누구입니까?” 하고 물었던 사람이다.
21 그 제자를 본 베드로가 예수님께, “주님, 이 사람은 어떻게 되겠습니까?” 하고 물었다.
22 예수님께서는 “내가 올 때까지 그가 살아 있기를 내가 바란다 할지라도,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너는 나를 따라라.” 하고 말씀하셨다.
23 그래서 형제들 사이에 이 제자가 죽지 않으리라는 말이 퍼져 나갔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가 죽지 않으리라고 말씀하신 것이 아니라, “내가 올 때까지 그가 살아 있기를 내가 바란다 할지라도,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하고 말씀하신 것이다.
24 이 제자가 이 일들을 증언하고 또 기록한 사람이다. 우리는 그의 증언이 참되다는 것을 알고 있다.
25 예수님께서 하신 일은 이 밖에도 많이 있다. 그래서 그것들을 낱낱이 기록하면, 온 세상이라도 그렇게 기록된 책들을 다 담아내지 못하리라고 나는 생각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2025년 6월 7일 매일미사 부활 제7주간 토요일 오늘의 묵상
요한 복음서의 마지막 부분은 저마다 자기 방식으로 예수님을 따라가는 두 사도를 보여 줍니다. 그 둘은 주님께서 자주 함께하셨고 주님 승천 뒤에도 자주 함께 움직이던 제자들입니다(사도 3―4장 참조). 마지막 만찬 때는 요한을 시켜 주님께 여쭈었던 베드로(요한 13,23-25 참조)가 이제는 자신이 직접 주님께 여쭙고 요한은 침묵합니다. 주님께서 다시 오실 때까지 요한이 살아 있기를 바라실 만큼 주님께 그는 각별한 존재였을까요? 그런데 그가 죽지 않으리라는 믿음은 근거 없는 추측이라고 요한 스스로 딱 잘라 말합니다. 실제로 요한은 사도들 가운데 유일하게 순교하지 않고 주님 승천 뒤 칠십여 년을 더 살다가 평온하게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은, 오늘 복음의 구절이 신앙인의 삶에서 보이는 두 가지 모습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곧 베드로는 지상의 시간에 남아 있는 삶을, 요한은 영원한 하늘 거처에 사는 삶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요한 복음 강해』 참조). 다시 말하여 베드로는 순교의 길로 주님을 따르도록 불렸고, 요한은 높은 곳에서 말씀의 신비를 꿰뚫는 관상이 완전해지도록 당신께서 오실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설교집』 참조).
예수님께서는 어제 복음에서 베드로에게 중대한 사명을 부여하시고 그를 새롭게 부르셨는데, 오늘 복음에서는 사랑하시는 제자 요한을 새롭게 부르십니다. “내가 올 때까지 그가 살아 있기를 내가 바란다 할지라도,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21,22) 예수님을 따르는 길에서 마땅히 고통이 따르겠지만 저마다 가는 길은 다르니, 남의 사정을 깊이 알려고 하기보다는 자신의 길에 충실해야 합니다. (국춘심 방그라시아 수녀)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9일 매일미사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오늘의 묵상 (0) | 2025.05.12 |
---|---|
2025년 6월 8일 매일미사 성령 강림 대축일 오늘의 묵상 (0) | 2025.05.12 |
2025년 6월 6일 매일미사 부활 제7주간 금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5.12 |
2025년 6월 5일 매일미사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 기념일 오늘의 묵상 (0) | 2025.05.11 |
2025년 6월 4일 매일미사 부활 제7주간 수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5.11 |
댓글